자료실

형평운동 참고 도서

형평운동기념사업회 0 462
• 김영대『실록 형평』(송산출판사, 1978)
• 김중섭형평운동 연구』-일제침략기 백정의 사회사-(민영사, 1994)
• 김중섭형평운동(지식산업사, 2001)
• 고숙화「일제하 형평사 연구」(이화여대박사학위논문, 1996)
• 고숙화「일제하 형평사 연구」-1926년 이후의 형평사를 중심으로-(『사학연구』, 한국사학회, 1989)
• 고숙화「‘예천사건’을 통해 본 일제하의 형평운동(『수촌 박영석교수 화갑기념 한민족독립운동사논총』, 논총간행위원회, 1992)
• 고숙화「일제하 사회운동과 형평운동의 연관관계」(『형평운동의 재인식』, 형평운동 70주년기념사업회 엮음, 도서출판 솔, 1993)
• 김준형「진주지역 형평운동의 역사적 배경」(『형평운동의 재인식』, 도서출판 솔, 1993)
• 김중섭「1920년대 형평운동의 형성과정」:진주지역을 중심으로(『동방학지 』5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88)
• 김중섭「일제침략기 형평운동의 지도세력」:그 성격과 변화(『동방학지』76,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2)
• 김중섭형평운동의 지향과 전략」(『형평운동의 재인식』, 형평운동 70주년기념사업회 엮음, 도서출판 솔, 1993)
• 이명길「신분제 해체와 형평사운동」1~3(『진주상의』19-21, 진주상공회의소, 1986)
• 임순만「기독교 전파가 백정공동체에 미친 영향」(『형평운동의 재인식』, 형평운동70주년기념사업회 엮음, 도서출판 솔, 1993)
• 진덕규형평운동의 자유주의적 개혁사상에 대한 인식」(『한국정치학회보집』10, 1976)
• 진덕규형평운동의 사상사적 인식」(『형평운동의 재인식』, 형평운동 70주년기념사업회 엮음, 도서출판 솔, 1993)
• Kim, Joong-Seop『In Search of Human Rights: The Paekchong Movement in Colonial Korea』(Cambridge, London: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1999)
• Gi-Wook Shin·Michael Robinson (엮음), 『Colonial Modernity in Korea』(Cambridge, London: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1999)
• Kim, Joong-Seop『The Korean Paekjong under Japanese Rule: The Quest for Equality and Human Rights』(London, New York: RoutledgeCurzon, 2003)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Hot

인기 전조선형평대표자회의

형평운동기념사업회 | 댓글 0 | 조회 1,023
[정의]일제강점기 사회운동단체인형평사의 운동노선 전환의 계기가 된 회의.[개설]1923년 4월진주에서 조직된형평사는 창립 10개월만에 12개 지사와 67개 분사가 설립되는 등 일제… 더보기
Hot

인기 진주교회 역사외 형평운동

형평운동기념사업회 | 댓글 0 | 조회 511
진주지역을 포함한경상남도지역에서의 기독교 시원은 직접적으로호주장로교 선교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1902년커렐(Dr. H. Currell)의사 부부는 의료시설이 전무하다시피 … 더보기
Now

현재 형평운동 참고 도서

형평운동기념사업회 | 댓글 0 | 조회 463
•김영대,『실록 형평』(송산출판사, 1978)•김중섭,『형평운동연구』-일제침략기 백정의 사회사-(민영사, 1994)•김중섭,『형평운동』(지식산업사, 2001)•고숙화,「일제하 형평… 더보기
Hot

인기 형평운동의 현대적 의미

형평운동기념사업회 | 댓글 0 | 조회 460
1935년형평사가대동사로 이름을 바꾼 뒤 사실상형평운동은 더 이상 계속되지 않았다. 그리고 해방 후 한국전쟁, 산업화 등을 거치면서 전통적인 지역공동체가 크게 바뀌어 신분의 잔재로… 더보기
Hot

인기 형평운동의 목적과 성격

형평운동기념사업회 | 댓글 0 | 조회 500
형평사의 일차적 목적은 백정들에 대한 차별과 억압을 철폐하고 평등한 대우를 획득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궁극적인 목표는 그들도 인간으로서 똑같은 권리와 존엄성을 누리는 사회를 만드… 더보기
Hot

인기 형평운동의 탄생과 발전

형평운동기념사업회 | 댓글 0 | 조회 265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역동적 과정을 겪어온진주지역에서 백정 출신이 아닌 사회운동가들과 백정사회의 지도자들은 1923년 백정신분 해방을 위한 단체를 결성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더보기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